혀 밑에 투여하는 알레르기 비염 면역치료 설하요법 약의 종류
대표적으로 알려진 종류가 3가지가 있는데, 딱딱한 알약 형태인 LAIS(라이스),ACARIZAX(아카리작스)와 액체형태로 이루어진 스티로랄 설하액 300이 있습니다.
LAIS(라이스)
6세 이상 복용이 가능하다고 설명이 되어 있으며, 그 이하의 소아에게는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아 복용을 권하진 않는다고 합니다.일주일에 1~2번 정도 복용을 하며 기간은 최소 3년에서 5년까지 권장하고 있습니다.복용방법은 혀 밑에 투여하는 경구약인 만큼 혀 밑에 2분간 머금고 있다가 삼키는 방법이며 주로 공복에 복용을 권장하고 있으며,초기요법과 유지요법으로 복용일정이 나누어지며 그에 따른 약물도 용량이 다릅니다.
ACARIZAX(아카리작스)
12세 이상 복용이 가능하며,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LAIS정보다는 연령제한이 높은 편입니다.복용방법은 LAIS정과 같이 혀 밑에 1분간 머금고 있는 방법인데,ACARIZAX(아카리작스)는 3초면 정제가 녹아 약 흡수를 위해 1분간 침을 삼키지 않는 걸 권장한다고 합니다.1일 1회 복용을 하며 기간은 마찬가지로 최소 3년~5년을 권장하고 있으며 설명드리는 알레르기 비염치료 혀 밑에 투여하는 경구약 중에 가장 최근에 발명된 약이며 미국 FDA 승인을 받았다고 합니다.
스타로랄 300설하액
액체형태로 되어있고 용기에는 펌프가 달려있으며 한 번 복용 시 펌프를 끝까지 꾹 눌렀을 때의 양을 1회복용기준으로 합니다.6세 이상 복용이 가능한 연령제한이 있으며 초기단계와 유지단계로 나누어집니다.초기단계의 약물은 파란색 뚜껑이며 유지단계는 보라색 뚜껑으로 구분합니다.설하에 펌프한 액을 투여한 후 약 흡수를 위해 약 2분 동안 머금고 있는 걸 권장하고 있는데, 2분이 힘들 경우 최소 1분은 머금고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기대되는 치료효과
알레르기 비염치료 방법중에 유일하게 완치율이 있는 알레르기 면역요법인 만큼 근본적인 알레르기치료를 기대할 수 있으며, 알레르기 천식으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그리고 새로운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반응을 예방하는데도 효과를 보인다고 논문 및 연구결과도 발표되고 있고 알레르기치료에 따른 약물사용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으며 치료 효과는 최대 90%라고 합니다.
대부분 먼지진드기에 관하여 경구약을 복용을 하며 그 외에 꽃가루에 대해서도 혀 밑에 투여하는 경구약으로 치료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복용했을 때 발생 가능한 부작용
경구약으로 복용을 하다보니 입술주위가 붓거나 발적이 생기는 국소반응이 발생할 수 있고 정말 드물게 전신 발적,두드러기 혹은 후두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이 올 수 있고 구토,설사,오심등과 같은 Anaphylactic shock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습니다.이러한 부작용들이 일어나는 이유는환자들에게 맞지 않는 알레르기 물질을 복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부작용이 너무 자주 발생하거나 환자가 치료하기 힘들 정도로 자주 오는 경우에는 환자분의 안전을 위해 해당 치료방법에 대해 중단을 고려해보셔야 할 필요성은 있지만 혀 밑에 투여하는 경구약의 장점은 이런 부작용들이 발생한 확률이 현저하게 낮다는 것에 있습니다.이런 알레르기 비염의 치료방법을 시행하기 전에는 반드시 알레르기검사를 시행하여 어디에 알레르기반응을 보이는지 파악하는 게 중요하며, 검사방법은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와 혈액으로 시행하는 검사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장점
경구로 복용을 할 수 있는 치료방법이다보니 보통 알레르기면역치료방법 중에 주사요법으로 시행하고 싶으나 협조가 잘 되지 않는 어린아이들이나 간혹 주사에 대해서 두려움이 있는 성인들의 경우에 시행할 수 있는 치료방법입니다.혀 밑에 투여하는 경구약을 복용할 수있는 나이에 해당이 되고 경구약으로 복용을 할 수만 있으면 쉽게 접근을 할 수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매일 병원에 가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병원에 가서 처방을 받아 집에서 일정대로 복용만 하면 되니까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도 쉽게 접근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코,목,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이염의 진단을 위한 검사방법과 치료 (0) | 2023.02.01 |
---|---|
중이염의 종류와 원인 (0) | 2023.02.01 |
갑상선호르몬의 기능과 종류 (0) | 2022.12.03 |
구강 내 장치 착용은 무호흡증이 완치될까? (0) | 2022.12.02 |
입안의 침샘인 악하선에 대해 (0) | 2022.12.02 |
댓글